Challenge for the better tomorrow 한결은 사람과 자연을 지키고 건강하게 연결합니다
-
NSF International
◼ 지정기관: 미국국가위생국(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)
◼ 물, 음식, 공기, 및 환경 분야의 안정성 검토에 입각한 고품질 규격을 제정하여 해당제품의 적합성을 평가
◼ 획득일자: 2025년 02월 21일
안전보건경영시스템인증서(ISO 45001)
◼ 지정기관: 한국품질진흥원
◼ 한국품질진흥원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인증표준과 인증범위에 적합함을 확인
◼ 인증표준 : KS Q ISO 45001:2018/ISO 45001:2018
◼ 인증범위: 지하수, 상하수도 양수파이프(수도용 스테인리스강관 이음쇠),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설계, 개발 및 생산
◼ 인증기간: 2024년 05월 10일 ~ 2027년 05월 09일
경영혁신형 중소기업(MAIN-BIZ) 확인서
◼ 지정기관: 중소벤처기업부장관
◼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사업에 의해 선정된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확인
◼ 유효기간: 2024년 04월 23일 ~ 2027년 04월 22일
품질인증지정서(상부보호공)
◼ 지정기관: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
◼ 공산품 품질 향상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시험 연구원 품질인증기준 적합 업체로 지정
◼ 인증품목: 지하수용 상부보호공
◼ 약정기간: 2023년 12월 28일 ~ 2024년 12월 27일
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인증
◼ 인증기관: 경상북도
◼ 2021년도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으로 선정
◼ 인증일자: 2021년 9월 8일
대구한의대학교 가족기업인증서
◼ 인증기관: 대구한의대학교
◼ 대구한의대학교와 산학협력을 통하여 현장밀착형 인재양성 및 산업기술 경쟁력강화를 도모하는 학교 가족기업으로 인증
◼ 인증일자: 2020년 3월 19일
CLEAN 사업장 인정서
◼ 인정기관: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
◼ 안전하고 쾌적한 ‘CLEAN 사업장’으로 인정
◼ 인정기간: 2017년 10월 18일 ~ 202년 10월 17일
조달청 새싹기업 지정증서
◼ 지정기관: 조달청
◼ 유망제품인 수위측정관, 수위조절선, 수중케이블 보호를 위한 양수파이프를 생산하는 조달청 새싹기업으로 지정
◼ 지정기간: 2017년 3월 6일 ~ 2022년 3월 5일
정보화경영체제인증서
◼ 인증기관: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
◼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9조 제1항, 동법시행령 제15조 제2항에 의한 정보화경영체제 인증 및 정보화 혁신형 기업임을 확인
◼ 유효기간: 2016년 4월 1일 ~ 2019년 4월 1일
ESG 우수 중소기업 확인서
◼ 확인기관: 동반성장위원회
◼ 동반성장위원회에서 ESG 이행사항 확인결과 글로벌 수준의 사회적 책임 이행 중소기업임을 확인
◼ 유효기간: 2023년 9월 25일 ~ 2025년 9월 24일
품질인증지정서(양수파이프)
◼ 지정기관: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
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9조의4 제2항, 동법 시행령 제8조의5 제2항에 따라 품질인증기준에 적합한 우수 상품 생산
◼ 인증품목: 지하수용 양수파이프(플랜지형, 소켓형, 돌기플랜지형)
◼ 약정기간: 2023년 10월 20일 ~ 2024년 10월 19일
창업기업 확인서
◼ 확인기관: 중소벤처기업부
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9조의4 제2항, 동법 시행령 제8조의5 제2항에 따른 확인
◼ 유효기간: 2021년 10월 8일 ~ 2023년 3월 31일
사회적기업 인증서
◼ 인증기관: 고용노동부
◼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7조,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 규칙 제 10조에 따른 인증
◼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: 일자리 제공형
물산업 선도기업 지정서
◼ 지정기관: 경상북도
◼ 경상북도의 물산업을 이끌어갈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지정
◼ 지정기관: 2021년 1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우수발명품 우선구매선정 확인서
◼ 확인기관: 한국발명진흥회
◼ 발명진흥법 제39조(우수발명품의 우선 구매)에 따라 지하수 일체형 양수파이프(관정용 플랜지 어셈블리, 특허 제10-1626727호)를 특허청장이 공공기관에 우선구매를 추천하는 중소기업 우수 발명품임을 확인
◼ 유효기관: 2023년 8월 6일 ~ 2026년 8월 5일
소재·부품·장비 전문기업확인서
◼ 확인기관: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
◼ 소재·부품·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14조 제2항, 동법 시행규칙 제4조 제2항에 따른 전문기업 확인
◼ 유효기관: 2022년 10월 18일 ~ 2025년 10월 17일
우수 발명품 우선구매추천 확인서
◼ 확인기관: 한국발명진흥회
◼ 발명진흥법 제39조(우수발명품의 우선 구매)에 따라 지하수 일체형 양수파이프(관정용 소켓 어셈블리, 특허 제10-1625806호)를 특허청장이 공공기관에 우선구매를 추천하는 중소기업 우수 발명품임을 확인
◼ 유효기관: 2022년 8월 7일 ~ 2025년 8월 6일
직접생산확인증명서
◼ 증명기관: 중소기업유통센터
◼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 제4항 본문, 동법 시행규칙 제5조제3항에 따른 증명
◼ 제품명: 배관 유체 조절 시스템 장비 및 부품 – 관이음자재 - 신축관이음
환경경영시스템인증서(ISO 14001 인증)
◼ 인증기관: 한국품지진흥원
◼ 자사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이 KS I ISO 14001:2015/ISO 14001:2015의 인증표준과 지하수 ,상하수도 양수파이프(수도용 스테인리스강관 이음쇠),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설계, 개발 및 생산에 적합함을 인증
◼ 인증기간: 2021년 8월 13일 ~ 2024년 8월 12일
수도용 자재와 제품의 적합인증(CP 인증)
◼ 인증기관: 한국물기술인증원
◼ 수도법 시행령 제24조의2 제1항 제7호, 환경부 고시 제2020-179호, 수도용 자재와 제품의 적합 인증제도 운영요령 제29조 제1항에 따른 인증
◼ 인증기간: 2022년 6월 27일 ~ 2024년 6월 26일
위험성평가 인정서
◼ 인정기관: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
◼ 사업장 위험성평가 인정 기준 적합에 따른 우수사업장 인정
성능 인증서
◼ 인증기관: 중소벤처기업부
◼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5조, 동법 시행규칙 제11조4항에 따른 인증
◼ 인증품목: 지하수 양수파이프(수위측정관, 수위조절관, 수중케이블 보호 기술을 적용한 플랜지형 제품
위생안전기준 인증서
◼ 인증기관: 한국물기술인증원
◼ 수도법 제14조 제1항, 수도용 자재와 제품의 위생안전기준 인증 등에 관한 규칙 제8조 1항에 따른 인증
◼ 용도인증: 일반수도용자재
조달청 벤처나라 지정증서
◼ 지정기관: 조달청
◼ 벤처나라 등록 물품·서비스 지정 관리 규정에 따라 공공구매 판로 확대를 지원하는 벤처창업 혁신조달상품으로 지정
◼ 유망제품: 지하수 일체형 양수파이프
◼ 지정기간: 2022년 4월 29일 ~ 2025년 4월 28일
기술혁신형 중소기업(Inno-Biz)확인서
◼ 인증기관: 중소벤처기업부
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사업에 의해 선정
◼ 주요내용: 기술혁신형 중소기업(Inno-Biz)임을 확인
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
◼ 인증기관: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(Koita)
◼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의 2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7조 제1항에 따라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을 인정
◼ 주요내용: 기업부설연구소를 중심으로 지하수상부보호공과 양수파이프 등 신규 제품을 연구개발하고, 기존 제품의 품질 향상과 시대 변화에 따른 신기술을 적용
품질경영시스템인증서(ISO 9001)
◼ 인증기간: 2022년 8월 25일 ~ 2025년 8월 24일
◼ 인증기관: 한국품질진흥원
◼ 인증표준: KS Q ISO 9001;2015/ISO 9001:2015
◼ 인증범위: 지하수, 상하수도 양수파이프(수도용 스테인리스강판 이음쇠),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설계, 개발 및 생산
◼ 주요내용: 조직체제의 강화에 의한 업무, 책임, 권한의 명확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제고와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정적 품질 제공 능력이 있음을 증명
벤처기업확인서
◼ 인증기관: 중소벤처기업부
◼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5조에 따른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인증
◼ 주요내용: 우리 산업의 구조조정을 원활히 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벤처기업법에 의해 성장 지원기업으로 인증
해당 홈페이지는 보안이 취약한
Internet Explorer 9 이하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
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하거나
최신 버전의 크롬, 파이어폭스 등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십시오.